- 미국
- 캐나다
- 호주
- 영국
- 필리핀
- 뉴질랜드
- 일본
- ADMIN
- 초중고유학
- 해외대학진학
- 해외예술학교
- 어학연수
공무원 해외유학 어학연수 유학휴직 후 국외교육 준비 및 신청 출국까지~!
공무원 휴직 후 유학준비 및 출국하기까지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요 ?공무원해외연수를 준비하고 계신다면 주의해서 챙겨야 할 내용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
공무원의 해외연수와 국외훈련은 몇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첫째, 국외장기훈련자 제도가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가 대상자를 주로 선발합니다.
대한민국 공무원의 국외장기훈련자 선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국가관 및 직무 사명감: 국가관과 직무에 대한 사명감이 투철해야 합니다.
근무 성적: 우수한 근무 성적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학력 및 경력: 필요한 학력과 경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외국어 능력: 필요한 외국어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영어권 국가의 경우 TOEFL IBT 83점, IELTS 6.0점, TOEIC 775점 이상의 성적이 필요합니다.
건강 및 적성: 인사혁신처가 정하는 나이, 건강, 적성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징계 기록: 징계처분을 받은 경우, 추천일 기준으로 그 처분 종료 후 1년 이상이 경과해야 합니다.
추가로, 선발 연도 말 기준 48세 이하이고 실근무 경력이 3년 이상인 4~9급 경력직 공무원이 선발 대상입니다
대한민국 공무원의 국외장기훈련자 선발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외훈련 수요조사:
각 국외훈련 과정별 교육훈련계획 수립을 위한 수요조사를 실시합니다.
국외훈련 선발계획 수립:
부처별 교육훈련 수요, 연도별 훈련 규모 및 예산 사정을 고려하여 각 교육과정별 국외훈련 선발계획을 수립합니다.
국외훈련 대상자 추천:
각 부처에서는 지원자격 심사, 연구과제 및 훈련 후 예정 보직 등을 부여하여 대상자를 추천합니다.
국외훈련 대상자 선발:
합격자 선정 기준에 따라 국외훈련 대상자를 최종 선발합니다.
훈련대상자 오리엔테이션:
훈련대상자에 대한 파견 전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합니다.
국외훈련 파견:
훈련기관의 교섭 및 선정: 훈련과제를 중심으로 훈련기관과 교섭합니다.
파견의뢰: 관련 서류를 구비하여 인사혁신처로 송부합니다.
교육훈련비 지급:
훈련비 지급: 학자금, 항공료, 체재비를 지급합니다.
국외훈련 진행상황 보고:
도착 신고, 정기 보고(분기별 훈련 진행 상황 보고, 직무훈련기관의 평가 및 확인 보고, 부처 자체 연구과제 보고, 최신 행정자료 수집 보고), 현지 동향 보고, 소재 및 신상 보고 등을 진행합니다.
국외훈련 종료:
귀국 신고: 귀국 후 7일 이내에 인사혁신처에 방문 보고합니다.
훈련 결과 보고: 훈련 종료 전 30일 이내에 훈련 결과 보고서를 소속 부처에 제출 및 인사혁신처 교육훈련정보센터에 등재합니다
공무원 해외연수 장기일반과정은 공무원들이 일정 기간 동안 외국에서 교육과 연수를 받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과정은 공무원들이 국제적인 감각과 전문성을 키우고, 외국의 정책 사례와 경험을 습득하여 정책 개발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특징
훈련 기간: 총 1년 이내
훈련 기관: 외국 정부기관, 국제기구, 연구소 등에서 진행
대상 공무원: 고위공무원 및 3~4급 과장급 공무원
연령 요건: 선발 연도 말 기준 53세 이하 (과장급 직무훈련은 50세 이하)
훈련 내용: 영어권에서 1년간의 학위 과정 (석사) 또는 직무훈련
훈련비 지원: 체재비, 학자금, 항공료 등이 지원됨
선발 절차
국외훈련 수요조사: 각 과정별 교육훈련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수요조사를 실시
국외훈련 선발계획 수립: 부처별 교육훈련 수요와 예산 사정을 고려하여 선발계획 수립
대상자 추천: 각 부처에서 지원자격 심사 후 추천
대상자 선발: 최종 합격자를 선정
파견 전 오리엔테이션: 훈련 대상자에게 사전 교육 실시
국외훈련 진행: 훈련 진행 중 정기 보고 및 평가 실시
훈련 종료 후 보고: 귀국 후 훈련 결과 보고서 제출
목적
국제 회의 및 협상에서의 실무 책임을 담당하는 고위 공무원의 국제적 감각과 안목 배양
중앙행정기관의 주요 정책 입안자로서 외국의 정책 사례와 경험을 통해 정책 개발 능력 향상
지역별, 직무별 국제 전문가 양성
자세한 내용은 공무원 인재개발원 또는 해당 부처의 교육훈련 담당 부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 해외연수 1+1과정은 학위 취득과 직무 훈련을 결합한 프로그램으로, 공무원들이 외국에서 학위를 취득한 후 현지에서 직무 훈련을 받도록 지원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의 목적은 이론과 실무의 조화를 통해 연수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국제적 감각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습니다.
주요 특징훈련 기간: 총 2년 이내1년차: 대학에서 학위과정 이수2년차: 국제기구, 정부기관 등에서 직무훈련훈련 대상: 실근무 경력 3년 이상인 4~9급 경력직 공무원훈련비 지원: 장기일반과정에 준하여 학자금, 체재비, 항공료 등 지원선발 절차:1차 전형: 어학검정시험2차 전형: 어학검정시험 합격자에 대한 훈련과제 심사 및 면접과정 운영학위 과정: 첫 해는 대학에서 석사학위 과정을 이수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Duke University, 영국의 York University 등 16개 대학과 MOU를 맺고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직무훈련: 두 번째 해는 국제기구나 정부기관 등에서 직무훈련을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공무원들은 현지의 행정 시스템과 정책 사례를 직접 경험하고 배울 수 있습니다.
목적이론과 실무의 통합을 통해 국외 연수의 효과를 높이고, 정책 개발 능력 향상국제적인 시각과 경험을 바탕으로 공무원들의 직무 수행 능력 강화외국의 정책사례와 경험을 통해 새로운 정책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 배양이 과정은 공무원들이 학문적 지식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경험을 동시에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하여, 글로벌 환경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둘째, 공무원이 직접 해외유학 또는 어학연수를 위해 휴직을 하고 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대한민국 공무원이 유학휴직을 하고 해외연수나 교육을 갈 수 있는 제도는 공무원의 자기계발과 국제적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학휴직 제도
유학휴직 요건:
공무원은 공무원법에 따라 유학휴직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유학기간은 최대 3년까지 가능하며, 이 기간 동안 봉급의 50%를 2년 이내에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유학휴직은 석사학위 취득을 위한 기간으로 보통 1~2년이 소요되며, 영국의 경우 1년, 다른 나라의 경우 2년이 일반적입니다.
유학을 위한 휴직은 인사혁신처나 소속 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유학휴직 신청 절차:
신청자는 유학 계획서를 작성하여 소속 기관에 제출합니다.
기관의 승인을 받은 후, 관련 서류를 인사혁신처에 제출하여 최종 승인을 받습니다.
해외연수 프로그램
장기일반과정:
1년 이내의 기간 동안 외국 정부기관, 국제기구, 연구소 등에서 연수 받는 과정입니다.
고위공무원 및 3~4급 과장급 공무원이 대상이며, 연령 제한(53세 이하)이 있습니다.
훈련비(학자금, 체재비, 항공료 등)를 지원받습니다.
선발 절차는 어학검정시험과 훈련과제 심사로 이루어집니다.
1+1 과정:
2년 이내의 기간 동안 학위 과정과 직무훈련을 결합한 프로그램입니다.
첫 해는 대학에서 석사학위 과정을, 두 번째 해는 국제기구나 정부기관 등에서 직무훈련을 받습니다.
4~9급 경력직 공무원이 대상이며, 실근무 경력 3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훈련비는 장기일반과정에 준하여 지급됩니다.
선발 절차는 어학검정시험과 훈련과제 심사로 이루어집니다.
관련 법령 및 규정
국가공무원법 제71조: 유학휴직, 국외고용휴직, 국외직무파견 등의 규정을 포함하고 있으며, 공무원이 유학을 목적으로 휴직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공무원 인재개발법 시행령 제32조: 해외훈련과 연수의 세부적인 자격요건과 절차를 명시하고 있습니다.
공무원이 해외연수할때 자녀 무상교육이 지원되는 조건은 뭘까요 ?공무원이 유학휴직을 통해 해외 연수를 갈 때 자녀에게 무상 교육을 제공하는 국가와 해당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캐나다
조건: 부모 중 한 명이 캐나다에서 정규 학위 과정을 밟는 경우 자녀는 무상으로 공립학교에 다닐 수 있습니다.
특이 사항: 퀘벡 및 노바스코샤 주에서는 어학연수 과정만으로도 자녀가 무상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호주
조건: 부모 중 한 명이 퍼스(서호주) 내 대학에서 석사(Master) 과정 이상을 이수하는 경우, 자녀는 공립학교에서 무상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이 사항: 석사 과정 전의 어학연수 기간에는 자녀 무상 교육 혜택이 적용되지 않으며, 석사 과정이 시작되는 시점부터 무상 교육이 가능합니다.
영국
조건: 부모 중 한 명이 NQF Level 7 이상(석사 학위 이상)의 학업을 하는 경우, 자녀는 공립학교에서 무상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이 사항: 학생비자 소지자인 경우, 학업 레벨에 상관없이 자녀 동반 비자 신청이 가능하며, 자녀는 공립학교에서 무상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미국
조건: 부모 중 한 명이 학업을 목적으로 학생 비자(F1)를 소지한 경우, 자녀는 무상으로 공립학교에 입학할 수 있습니다.
특이 사항: 자녀 무상 교육은 부모의 학업 레벨에 상관없이 제공됩니다.
이 국가들에서 자녀 무상 교육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해당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자녀가 다닐 학교는 부모의 학업 위치와 연계되어 배정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자녀의 무상 교육이 가능한 연령과 학년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구체적인 사항은 해당 국가의 교육청이나 유학네트 전문상담원인 EP에게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유학휴직을 하게되면 내가 받던 급여를 못 받게 되나요 ?공무원이 유학휴직을 하는 경우, 보수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지급됩니다:
보수 지급 기간:
유학휴직을 사용하는 동안 최대 3년까지 휴직이 가능합니다.
이 중 2년 동안은 봉급의 50%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보수 지급 조건:
유학휴직을 신청한 공무원은 승인된 유학 계획에 따라 유학을 떠날 경우, 2년 이내에 봉급의 50%를 지급받게 됩니다.
3년째에는 봉급이 지급되지 않습니다.
관련 법령
국가공무원법 제71조: 유학휴직에 대한 규정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 법에 따라 공무원은 유학휴직 기간 동안 일정 부분의 봉급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유학휴직을 통한 해외 연수를 계획 중인 공무원은 소속 기관의 인사 담당 부서나 인사혁신처에 문의하여 구체적인 절차와 혜택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국가공무원법, 공무원 인재개발법
유학휴직 신청 조건근속 연수:
최소 5년 이상의 근속 연수가 있어야 합니다.
이 기간에는 휴직, 직위해제, 강등, 정직 등의 기간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추천 : 네이버 블로그).
연수 분야:
신청자는 자신의 업무와 관련된 분야에서 유학을 해야 합니다.
단순히 배우고 싶은 분야가 아닌, 공무원의 직무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연구나 교육이어야 합니다.
어학 능력:
TOEIC, TOEFL, IELTS 등 일정 기준 이상의 어학 성적이 필요합니다.
기관별로 요구하는 어학 성적이 다르므로, 미리 준비가 필요합니다.
유학휴직 절차
입학 허가서 및 비자 신청:
유학하려는 교육기관의 입학 허가서를 받은 후 비자를 신청합니다.
비자 발급에는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미리 준비가 필요합니다.
휴직 신청서 제출:
입학 허가서, 비자, 어학 성적증명서 등을 준비하여 소속 기관에 휴직 신청서를 제출합니다.
각 기관의 휴직자 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유학휴직 계획서 작성:
유학휴직 계획서에는 유학 후 복귀 시 소속 기관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포함해야 합니다.
계획서는 심의위원회의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됩니다.
급여 및 혜택
유학휴직 기간 중 최대 2년 동안 봉급의 50%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승급은 100%, 경력 평정은 50%가 인정됩니다.
유학휴직은 공무원의 자기 개발과 국제적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된 제도로, 관련 절차와 조건을 충족해야 승인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소속 기관의 인사 담당 부서에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무원 유학 인기전공
대한민국 공무원들이 해외유학 시 인기 있는 전공은 주로 공공정책학(MPP)과 행정학(MPA)입니다.
이러한 전공들은 공무원들의 직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국가 정책 개발 및 행정 업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미국과 영국의 대학들이 공무원 유학 전공으로 선호됩니다.
공무원 인기 전공분야경제학Economic공학Engineering국제 관계International Relations행정학Public Administration공중 보건Public Health공공 정책Public Policy
공공정책학 (MPP): 공공 정책을 분석하고 설계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학문입니다.
공공정책학은 정부와 비정부기구(NGO), 국제기구 등에서 정책 전문가로 활동하는 데 유용합니다.
행정학 (MPA): 정부 및 공공 기관의 행정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이론과 실무를 배우는 학문입니다.
행정학은 다양한 공공 서비스 부문에서 관리자로 일하는 데 필요한 전문 지식을 제공합니다.
공무원선호 대학 및 지역
미국: 아리조나 주립대학교(ASU)와 같은 대학들이 공공정책학 및 행정학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학업 중 미성년 자녀가 공립학교에서 무상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영국: 영국의 많은 명문 대학들이 1년간의 석사 과정(Master"s degree)을 제공하여,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입니다.
또한, 영국은 비자 법률이 유리하여 동반 가족 입국이 가능합니다.
이 외에도 공무원들은 경제학, 국제 관계, 환경 정책, 보건 정책 등의 전공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공들은 공무원의 직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어, 유학 후 복귀 시 업무 능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 필리핀 어학연수 선택 시 고려사항
공무원들이 필리핀에서 어학연수를 할 때 추천되는 프로그램들은 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1 개인 수업:
필리핀 어학연수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1:1 수업입니다.
하루에 4~5시간의 개인 수업을 통해 단기간에 영어 실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공무원들이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저렴한 비용:
필리핀의 어학연수 비용은 다른 영어권 국가들에 비해 저렴합니다.
한 달 학비와 기숙사 비용이 약 130만 원에서 180만 원 정도로, 비용 대비 효율성이 높습니다.
기숙사 생활:
대부분의 필리핀 어학원은 기숙사 생활을 제공합니다.
기숙사에서는 숙식은 물론 청소와 세탁 서비스도 제공되어, 학생들이 학업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간편한 비자 발급:
필리핀은 비자 발급 절차가 간편합니다.
한국에서 복잡한 학생 비자 발급 절차 없이 현지에서 간단히 비자를 연장할 수 있습니다.
여행과 레저 활동:
필리핀은 다양한 해양 스포츠와 관광 명소가 많아, 학업 외 시간에 휴양을 즐기기에 적합합니다.
보라카이, 보홀 등의 유명 관광지에서 스쿠버 다이빙, 서핑 등 다양한 레저 활동을 즐길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많은 어학원들이 공무원들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각 기관의 요구에 맞춘 서류 준비와 비자 발급 절차를 지원합니다.
연수를 계획 중인 공무원들은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고려해 최적의 어학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이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등에서 어학연수를 할 때 주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비자 및 입국 절차
미국: 학생 비자(F1) 발급 절차가 복잡하며, 신청서와 인터뷰를 포함한 많은 서류 작업이 필요합니다.
또한, 비자 승인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으므로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영국: Tier 4 학생 비자가 필요하며, 비자 신청 시에는 입학 허가서(CAS)와 재정 증명 서류가 필요합니다.
호주: 학생 비자(Subclass 500)를 발급받아야 하며, 의료보험(OSHC) 가입이 필수입니다.
캐나다: 학생 비자(Study Permit)를 신청해야 하며, 체류 기간이 6개월 미만일 경우에는 단기 비자(eTA)로도 가능하지만, 학업 목적일 경우 Study Permit이 필요합니다 .
2. 어학원 선택
인증된 어학원: 공무원 유학휴직이 승인되기 위해서는 공인된 교육기관에서의 연수여야 합니다.
사설 어학원보다는 대학 부설 어학원이나 공인된 어학원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커리큘럼 확인: 어학원의 커리큘럼이 자신의 학습 목표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1:1 수업이나 소규모 수업 등의 형태를 고려합니다.
3. 생활 비용 및 숙소
생활비: 각국의 생활비가 상이하므로, 연수 기간 동안의 생활비를 미리 계획해야 합니다.
주요 도시의 경우 생활비가 더 많이 들 수 있습니다.
숙소: 기숙사, 홈스테이, 개인 숙소 등 다양한 옵션이 있으며, 안전하고 편리한 숙소를 선택해야 합니다.
특히 기숙사의 경우 학업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4. 건강 보험
의료보험 가입: 각국에서 의료보험 가입이 필수적입니다.
미국, 호주, 캐나다 등에서는 학생 비자 발급 시 의료보험 가입 증빙을 요구하므로, 이를 사전에 준비해야 합니다.
5. 문화 적응
문화 차이: 각국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적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지 문화를 존중하고, 학습과 생활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네트워킹: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교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6. 어학연수 목적과 목표 설정
명확한 목표 설정: 어학연수의 목적과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학습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단기적인 어학 실력 향상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7. 법률 및 규정 준수
법률 준수: 각국의 법률과 규정을 준수하며, 특히 비자 조건을 위반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불법 취업 등 비자 조건을 위반할 경우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계획을 세우고 준비하면, 성공적인 어학연수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추가적인 정보는 해당 국가의 대사관 또는 유학 관련 기관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무원이 가족동반으로 휴직 후 해외유학을 갈 때 주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비자 및 입국 절차
가족 비자: 가족 동반 유학의 경우, 본인뿐 아니라 가족들의 비자도 필요합니다.
각국의 비자 발급 요건과 절차를 미리 확인하고 준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학생(F1) 비자와 함께 배우자는 F2 비자를, 자녀들은 F2 또는 B2 비자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비자 발급 기간: 비자 발급에는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미리 준비하여 출국 계획에 차질이 없도록 합니다.
2. 재정 증명
재정 증명: 유학 기간 동안 본인과 가족들이 생활할 수 있는 충분한 재정 능력을 증명해야 합니다.
각국의 비자 발급 시 요구되는 재정 증빙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예산 계획: 유학 기간 동안 학비, 생활비, 보험료 등 모든 비용을 고려한 재정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3. 자녀 교육
현지 학교 등록: 자녀들이 현지 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미리 학교 등록 절차를 확인하고 준비해야 합니다.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등 일부 국가에서는 자녀들이 무상으로 공립학교에 다닐 수 있습니다.
교육 시스템 이해: 현지 교육 시스템과 학사 일정을 미리 파악하여 자녀들이 원활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4. 건강 보험
의료보험 가입: 유학 기간 동안 본인과 가족 모두가 현지 의료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각국의 의료보험 요건을 확인하고 적절한 보험을 준비합니다.
건강 검진: 출국 전에 건강 검진을 받고, 현지에서 필요한 예방 접종 등을 미리 준비합니다.
5. 주거 및 생활 환경
숙소 마련: 가족이 함께 생활할 수 있는 안전하고 편리한 숙소를 미리 마련합니다.
기숙사, 임대 아파트, 홈스테이 등의 옵션을 고려합니다.
생활 환경 적응: 현지 생활 환경과 문화에 대해 미리 파악하고, 가족 모두가 적응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6. 법률 및 규정 준수
현지 법률 준수: 각국의 법률과 규정을 준수하며, 특히 비자 조건을 위반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불법 취업 등 비자 조건을 위반할 경우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현지 지원 네트워크
지원 네트워크 구축: 현지에 도착한 후, 한국인 커뮤니티나 유학생 지원 단체와 연락하여 필요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이들 단체는 문화 적응, 정보 제공, 문제 해결 등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8. 출국 전 준비 사항
서류 준비: 필요한 모든 서류를 미리 준비하고, 중요 서류는 복사본을 만들어 별도로 보관합니다.
여권, 비자, 입학 허가서, 재정 증명서, 의료보험 증명서 등이 포함됩니다.
출국 전 오리엔테이션: 소속 기관에서 제공하는 출국 전 오리엔테이션에 참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고, 현지 생활에 대한 이해를 높입니다.
이러한 사항들을 철저히 준비하면, 가족과 함께 하는 해외 유학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정보는 해당 국가의 대사관 또는 유학 관련 기관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이 유학을 마친 후 반드시 해야 하는 행정 절차와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귀국 신고
기간: 귀국 후 7일 이내에 인사혁신처에 방문하여 귀국 신고를 해야 합니다.
방법: 귀국 신고서와 귀국 관련 서류를 작성하여 제출합니다.
2. 복직 신청
복직 신청서 제출: 복직을 원할 경우, 귀국 후 소속 기관에 복직 신청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복직 시기: 유학휴직 기간이 종료되면 즉시 복직 절차를 진행해야 하며, 휴직 기간 종료 후 바로 복직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훈련 결과 보고
훈련 결과 보고서: 훈련 종료 전 30일 이내에 훈련 결과 보고서를 소속 부처에 제출하고, 인사혁신처 교육훈련정보센터에 등재해야 합니다.
보고서 내용: 유학 동안의 학업 성과와 연구 결과, 학습 내용을 포함하여 보고서 작성이 필요합니다.
4. 학위 및 성적 증명서 제출
학위 증명서: 유학 후 취득한 학위 증명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성적 증명서: 유학 기간 동안의 성적 증명서를 함께 제출하여 유학 성과를 증명합니다.
5. 경력 및 승진 반영
경력 인정: 유학 기간 동안의 경력은 일정 부분 경력으로 인정되며, 복직 후 이를 반영받을 수 있습니다.
승진 반영: 유학 휴직 기간 중에도 승진 소요 최저 연수의 50%가 인정됩니다.
6. 추가 교육 및 훈련
재교육: 복직 후 필요에 따라 추가 교육이나 재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유학 중 배운 내용을 업무에 적용하기 위한 과정일 수 있습니다.
7. 재정 정산
재정 정산: 유학 기간 동안 지원받은 비용에 대한 정산을 완료해야 합니다.
잘못된 지출이 있으면 환급하거나 추가 지출이 발생할 경우 이를 처리합니다.
주의할 점
기간 엄수: 모든 행정 절차는 정해진 기간 내에 완료해야 하며, 기한을 넘길 경우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서류 제출: 보고서 및 증명서 제출 시 정확하고 완전한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불완전하거나 부정확한 서류 제출은 불이익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복직 후 업무 적응: 복직 후 업무에 빠르게 적응하고, 유학 중 배운 내용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교육 효과 극대화: 유학 중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실제 업무에 활용하여, 공직 사회와 자신의 직무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절차와 주의사항을 철저히 준수하여 유학 후 원활한 복직과 업무 적응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정보는 소속 기관의 인사 담당 부서나 인사혁신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가별로 공무원유학 추천학교 및 어학연수 기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미국
하버드 대학교 (Harvard University)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행정학 (Public Administration) 등의 석사 과정이 유명합니다.
스탠포드 대학교 (Stanford University)
경영학 (MBA),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과정으로 선호됩니다.
컬럼비아 대학교 (Columbia University)
국제 관계학 (International Relations),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분야에서 인기 있습니다.
조지타운 대학교 (Georgetown University)
외교학 (Diplomacy), 국제 관계학 (International Relations) 분야에서 명성이 높습니다.
뉴욕 대학교 (New York University)
행정학 (Public Administration),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분야에서 선호됩니다.
ELS Language Centers
미국 전역에 위치한 어학연수 기관으로, 다양한 캠퍼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University of Oxford)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국제 관계학 (International Relations) 분야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University of Cambridge)
경영학 (MBA),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과정으로 유명합니다.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LSE)
경제학 (Economics),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분야에서 명성이 높습니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University College London, UCL)
도시 계획학 (Urban Planning),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분야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에딘버러 대학교 (University of Edinburgh)
행정학 (Public Administration),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분야에서 선호됩니다.
Bell Language School
런던과 캠브리지에 위치한 어학연수 기관으로, 다양한 영어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호주
시드니 대학교 (University of Sydney)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경영학 (MBA) 과정으로 인기가 많습니다.
멜버른 대학교 (University of Melbourne)
행정학 (Public Administration), 국제 관계학 (International Relations) 분야에서 선호됩니다.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NU)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국제 관계학 (International Relations) 분야에서 명성이 높습니다.
퀸즐랜드 대학교 (University of Queensland)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경영학 (MBA) 과정으로 유명합니다.
맥쿼리 대학교 (Macquarie University)
경제학 (Economics), 국제 경영학 (International Business) 분야에서 선호됩니다.
Navitas English
시드니, 멜버른 등 주요 도시에 위치한 어학연수 기관으로, 다양한 영어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교 (University of Toronto)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행정학 (Public Administration) 과정으로 유명합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국제 관계학 (International Relations),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분야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맥길 대학교 (McGill University)
경영학 (MBA),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과정으로 선호됩니다.
퀸즈 대학교 (Queen"s University)
행정학 (Public Administration), 공공정책학 (Public Policy) 분야에서 명성이 높습니다.
알버타 대학교 (University of Alberta)
경제학 (Economics), 국제 경영학 (International Business) 분야에서 인기가 많습니다.
ILSC Language Schools
토론토, 밴쿠버 등 주요 도시에 위치한 어학연수 기관으로, 다양한 영어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대학과 어학연수 기관들은 공무원들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글로벌 역량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유학을 계획할 때는 각 대학과 어학원의 입학 요건 및 프로그램 세부 내용을 철저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공무원 유학휴직은 각 부처별 다양한 상황이 있고 국가교육예산 집행 변동, 선발기준 및 유학목표 국가나 학교 또는 기관의 사정 등 다양한 변수들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경험 많은 전문 유학상담원으로 부터 도움을 받고 진행하시는게 좋습니다.
성공적인 해외 유학 & 어학연수 준비의 시작!
"유학네트 iTEF 유학박람회"
어학연수, 대학유학, 초중고유학, 캐나다 유급인턴십, 의대/약대/수의대 유학
내신 8등급까지 해외 명문대 입학 ▶ 패스웨이 프로그램
평균 15년 경력 유학 전문가와 1:1 맞춤 상담
장학금 최대로 받는 방법 + 다양한 추가 혜택
iTEF 유학박람회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하세요!
<링크텍스트:◀ 박람회 무료 참가 신청 ▶,https://fair.joohan.com/>
#유학네트종로 #주한유학센터 #종로유학원 #압구정유학원 #청담유학원 #강남유학 #미국비자 #어학연수 #F1비자 #해외대학입학 #IELTS